PWA로 설치형 웹앱 만들기

Progressive Web App(PWA)은 웹앱과 네이티브 앱의 장점을 결합하여, 설치형 앱처럼 사용 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도 동작할 수 있는 웹 기술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제 프로젝트에서 PWA를 구현하면서 경험한 매니페스트 설정, 백그라운드 동기화, 푸시 알림 등 핵심 기능 구현 방법을 공유합니다.

1. 매니페스트 구성

PWA의 기본은 manifest.json 파일입니다. 앱 이름, 아이콘, 시작 URL, 테마 색상, 디스플레이 모드 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가 홈 화면에 설치할 때 앱 아이콘과 시작 화면이 네이티브 앱처럼 표시됩니다.

{
  "name": "TooLoves PWA",
  "short_name": "TooLoves",
  "start_url": "/",
  "display": "standalone",
  "background_color": "#ffffff",
  "theme_color": "#000000",
  "icons": [
    { "src": "/icons/icon-192.png", "sizes": "192x192", "type": "image/png" },
    { "src": "/icons/icon-512.png", "sizes": "512x512", "type": "image/png" }
  ]
}

2. 서비스 워커와 오프라인 지원

서비스 워커(Service Worker)를 등록하면 오프라인 캐싱, 백그라운드 동기화, 푸시 알림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앱의 주요 리소스를 캐싱하여 인터넷이 끊겨도 기본 UI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했습니다.

3. 백그라운드 동기화

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에서 작업한 데이터를 서버로 자동 전송하도록 백그라운드 동기화를 설정했습니다. 이를 통해 앱 사용성이 향상되고, 네트워크 상태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4. 푸시 알림

Push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앱을 설치했을 때 알림을 보내고, 새로운 콘텐츠 업데이트를 즉시 알려줄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고, 앱 유지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5. 결론

PWA는 설치형 앱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웹 기술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방법입니다. 매니페스트, 서비스 워커, 백그라운드 동기화, 푸시 알림 등을 적용하면 UX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, 사용자는 네이티브 앱과 같은 환경에서 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